본문 바로가기

해병대

우리. 해병들은 한국전쟁 중 공산군으로부터 이 지역을 지켰다

우리. 해병들은 한국전쟁 중 공산군으로부터 이 지역을 지켰다      

 
                                                                       해병 제1연대 배치도(장단 및 사천강지역)
위의 전투상황도는 해병 제1연대가 중동부전선으로부터 1952년 3월 17일 서부전선(경기 장단 및 사천강 지역)으로 이동 후의 최초 부대 배치도이며 우일선대대에 제1대대, 좌일선대대에 제3대대 그리고 연대예비대인 제2대대는 좌일선대대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음. 우일선대대의 전방 우측에 '67m 고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 남쪽(아래)에 '36m고지' 그리고 바로 남쪽에 '33m고지', 및 '31m고지' 순으로 위치하고 있음. 좌일선대대의 전방에 '87m고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고지 앞을 '사천강'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있음.
위에 보이는 강은 '임진강'이 남쪽(한강)으로 흐르고 있음을 보여주며 오른쪽 윗부분에 '통일교'와 그 밑으로 '자유의 다리'가 보이고 있음. '사천강'은 사진의 왼쪽부분(황색 선의 서쪽)에 북에서 남('임진강')으로 흐르고 있음.
                                
'도라산'은 사진의 오른쪽 윗부분에 진한 갈색으로 보이는 부분(산)이며 '도라산'의 하록을 통과하는 '경의선'을 중심하여 우측에 1개 지역 좌측에 2개 지역으로 나눠져 보이는 구릉(낮은 고지) 같은 지역일대에 우일선대대의 5개 전초가 위치하고 있었음. '사천
강'은 사진의 좌측면에서 북에서 남(한강)으로 흐르고 있음.
 
이 전초진지 일대에서 이 나라의 수많은 젊은이들, 해병들이 대한민국을 위하여 그들의 청춘과 목숨을 희생했다는 사실을 우리, 대한민국 국민은 일 순간도 잊어서는 안된다.
    '도라산(사진의 중앙 윗쪽)'과 '도라산'역(파란 지붕)
 
상기 의 사진들은 한국전쟁 당시 해병 제1전투단('장단, 사천강' 지역)의 우일선대대 지역에 위치하고 있던 전투단 OP(155m고지, 도라산)의 하록을 통과하고 있는 '京義線'의 '도라산'역과 그 위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당시의 혈전장(장단, 사천강 전투)에서 분투한 老해병들의 희생의 결과이며, 보람이며 또한 바부심임을 老해병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여기에 올렸음.

해병 정신과 해병대의 전통은 이렇게, 이런 사실 등을 통해서 직, 간접으로 후배들에게 전승, 계승되어 나가고 있음.
본인은 그 당시 좌일선대대의 제5중대장(중위)을 했고 또 전투단의 작전보좌관(상황실장)을 했기 때문에 "장단, 사천강 전투"에 관하여 누구보다 많은 사실 내용을 숙지하고 있으며 또한 아직껏 기억하고 있어서 그에 대한 사실 내용 등을 해병가족을 위하며 또 일반인들을 위하여 "해병대 전투"(4), (5), 및 (6)에서 상세히 기술하였으니 독자들도 일독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전쟁 참전국 인원손실 현황(미군 문헌)
 
CCF Casualties(중공군 문헌)

Half a million men" , "China suffered at least 900,000 casualties", etc. However, such numbers were based on arb
itrary estimates which were greatly inflated.

From official Chinese sources, CCF casualties during the Korean war were 390,000. It breaks down as follows:
KIA: 110,400
DIED OF WOUNDS: 21,600
DIED OF SICKNESS: 13,000
CAPTURED & MISSING: 25,600
WOUNDED: 260,000


From reports published by CCF on August 15 1953, the UN suffered total casualties of 1,093,839, in which 397,
543 were Americans, 667293 were ROKs, and 29,003 were others.
 
From western sources, UN combat casualties totalled 1 million. It breaks as follows:
US 144,173, ROK 844,000(415,000 killed, 429,000 wounded),
Commonwealth 6000, others 8,800 (Hastings).
The US suffered another 20,000 or so fatality. From military history authored by ROK Defense Department, ROK total casualty was actually 984,400.
 
Detailed US casualties were: KIA 33,629, accidental death 20,600#,wounded 103,248, captured and repatriated
3,746, MIA 8,142.

The total count from both sources matched very well, some historians acknowledged that CCF was very honest
in their statistics. However, CCF counted 220,000 more US casualties, and about 200,000 less ROK. This discrep
ancy was partly due to the fact that many ROKs were serving as attachments to US armies and they were counte
d as US force by PVA.
 
oldmarine